본문 바로가기
정보

이더리움 채굴 피닉스마이너 실행안됨 배치파일 꺼짐현상 해결 방법

by 건즈앤로즈 2022. 2. 3.
반응형

 갑자기 잘 되던 이더리움 채굴이 안됩니다. 확인을 해보니 배치파일을 켜자마자 바로 꺼져 버립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더리움 채굴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PhoenixMiner, 피닉스 마이너 실행 안됨, 피닉스 마이너 배치파일 꺼짐 현상 해결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더리움 배치파일 켜자마자 꺼지는 현상, 왜그럴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겪는 증상이 배치파일을 켜자마자 바로 꺼져버리는 현상 일 겁니다. 대부분의 원인은 백신 프로그램이나 윈도 디펜더, 금융권 및 관공서에서 제공하는 보안 프로그램, 안랩 등이 원인입니다.

 

 백신 프로그램에서 제외 설정을 할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제외가 불가능한 프로그램도 있어 그럴 때는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해야 합니다.

 

 프로그램 삭제는 '시작' → '설정' → '앱'에 들어가셔서 삭제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안랩에서 제일 만이 걸리기 때문에 리스트 중 'AhnLab Safe Transaction'을 선택해서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윈도 디펜더 격리파일 복구하기 and 제외 설정하는 방법"

 만약에 안랩을 삭제했는데도 불구하고 안된다고 하시면 이미 윈도우 디펜더에서 채굴 파일을 격리시켜 버린 겁니다. 저 같은 경우가 그랬습니다.

윈도우 디펜더 실행 화면
윈도우 디펜더 실행 화면

 위에 사진을 보시면 제가 제거된 파일을 복구한 겁니다. 보호 기록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 디펜더에서 언제 어떤 파일들을 격리했는지 나옵니다. 만약 사진과 같이 채굴 프로그램을 격리했을 경우 복구해주시면 됩니다. 

 

 보호 기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설정 화면
설정 화면

1. '시작'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순으로 클릭해 줍니다.


설정 보안 화면
설정 보안 화면

2. 'Windows 보안'을 클릭 → 'Windows 보안 열기' 클릭


보안 설정 화면
보안 설정 화면

3. 좌측 아래 '설정'을 클릭 → '보호 기록' 클릭을 해주시면 다음과 같은 보호 기록들을 볼 수 있습니다.


보호 기록 화면
보호 기록 

4. 여기서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된 앱 발견' 옆에 '낮음'이라고 나온다면 경고만 뜨는 거지만 위에 처럼 '심각'으로 뜨게 될 경우 자동으로 파일을 격리시켜 버립니다. 

 

 그럴 경우에는 이더리움 배치파일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꼭 '심각'으로 되어 있다면 클릭하셔서 격리된 파일을 '복원' 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이더리움 채굴 피닉스 마이너 프로그램이 실행 안될 때 조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채굴 안 되는 증상 해결하셔서 2022년 한 해 성투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