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네트워크에 있어서 가장 많이 들어본 말이 바로 IP라는 단어일 겁니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흔히는 이 프로토콜에서 각 장치를 나타내는 IP 주소를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각 장치들의 전화번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P의 개념과 종류"
IP는 위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흔히는 이 프로토콜에서 각 장치를 나타내는 IP 주소를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컴퓨터의 경우 사용하는 운영체제도 서로 다르고, 프로그램의 경우 구현된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이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려면 공통된 통신 규약(프로토콜)이 필요했습니다. 1960년대에는 장비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었고, 다른 회사의 장비 끼리는 통신이 힘들거나 불가능했습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만든 것이 바로 IP입니다.
우리는 "공통된 통신 규약"인 이 IP를 통해서 여러 장치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찾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를 IP 주소라고 합니다.
▣IP주소의 종류▣
IP주소의 종류는 IPv4와 IPv6 두 가지가 있습니다.
- IPv4 :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IP 주소로, 약 43억 개의 고유한 주소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시) 192.168.0.100 , 172.30.1.150 - IPv6 : IPv4 주소의 고갈을 앞두고 차기 주소 체계로서 고안된 주소입니다. IPv4 주소가 약 43억 개의 고유한 주소를 부여할 수 있는 반면에 IPv6은 통신이 가능한 기기마다 공인 IP를 하나씩 할당해도 고갈될 걱정이 없을 정도로 주소가 넘쳐납니다.
예시) 2606:4700:4700:0000:0000:0000:0000:1111
"IP 주소 할당(공인 IP와 사설 IP 차이점)"
- 공인 IP 주소
- 공인 IP란 실제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쓰는 IP 주소이며 각 네트워크 망에 부여된 하나의 IP 주소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KT나 SK 같은 인터넷 업체에서 모뎀을 설치해 주면서 부여해 주는 IP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공인 IP는 내가 쓰고 싶다고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고 IP 주소를 관리하는 기관에 사용권을 요청하여 할당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IANA(Internet Assigened Numbers Authority)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업무량 분산과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피라미드형 체계로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IANA(세계) → 각 대륙별 IP 주소 관리 기관 → 각국의 IP 주소 관리 기관 → 통신사(KT, SK, LG 등) → 가입자
- 사설 IP 주소
- 사설 IP란 가상 IP라고도 불리며, 공유기 또는 VPN 장비를 통하여 각 인터넷 장비(컴퓨터, 모바일, 프린터 등)에 부여된 하나의 IP주소를 얘기합니다.
통신사에 인터넷을 신청할 때 보면 알 수 있듯이 공인 IP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가 여러 대가 있어 할당받으려는 수가 많아질수록 비용은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공유기를 이용한 사설 네트워크 구축입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IPTIME 4 포트 와이파이 공유기" 같은 경우 컴퓨터는 4대까지 연결할 수 있고 와이파이를 이용한 장비는 200개가 넘게 연결 할 수 있습니다. 회선 1개 값으로 200개가 넘는 장비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겁니다.
"내 컴퓨터 IP 확인 방법"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IP에는 공인 IP와 사설IP가 있습니다. 각각 IP주소 확인 방법이 다릅니다.
- 공인IP 확인 방법
1. 네이버에서 "내 아이피" 검색 후 확인
2. 공유기 내부에서 인터넷 연결 정보 확인 - 사설 IP 확인 방법
1. 윈도+R키로 실행 → cmd 입력 → ipconfig 입력 후 엔터 → 확인
2. 공유기 내부에서 인터넷 연결 정보 확인
두 개 모두 확인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보다 자세한 IP 확인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1.09.19 - [IT STUDY] - 내 컴퓨터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IT STUDY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IP와 고정IP의 차이점?? DHCP란?? 고정IP설정 방법 (0) | 2022.04.09 |
---|---|
네트워크(Network)란? (0) | 2022.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