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는 'Net + Work'의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일하는 그물' 정도가 됩니다. 이는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 그물과 같고, 그 그물 안에서 서로 통신하며 일하기 때문에 Network 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두대 이상의 컴퓨터 또는 장비, 핸드폰을 서로 연결하고 통신 하는 것'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란? 네트워크의 종류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는 두대 이상의 장비를 서로 연결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네트워크 라고 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우리는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연결하여 파일을 공유하고 미디어 스트리밍으로 사진, 음악 또는 비디오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프린터 공유로 한 대의 프린터를 사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과 만나 온라인게임, 채팅 등을 즐길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답답한 사무실에 갇혀서 업무를 보는게 아닌 카페, 집, 공원 등 네트워크만 가능한 장소라면 어디서든 업무를 보고 웹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네트워크를 단순하게 인터넷이라고 생각하지만 네트워크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보통은 네트워크 규모(크기)에 따라 구분됩니다.
-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통신으로 개인의 작업 공간을 줌심으로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로, 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기기가 제각기 그 사람의 편리를 목적으로 한 네트워크를 만드는걸 얘기합니다.
보통은 블루투스나 ZigBee통신 장비, Iot 장비, TV와 리모컨 간의 통신 등이 여기에 해당 됩니다. -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LAN입니다. 학교나 회사 등 한 건물 또는 일정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전송 속도가 빠른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이나 주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형태입니다.
보통 공유기를 통한 연결을 많이 하게 되며 네트워크의 확장이나 재배치가 쉽고, 오류 발생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효율적인 백업이 가능하고, 다른 기종 간의 통신에서 사무 처리 능률화가 극대화 되는 등 기기 자원의 공유에 따른 이용 효율의 향상과 경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서버,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테블릿 등의 장비는 물론 프린터나 대형 하드 디스크 등의 공유도 포함됩니다. -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 사용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는 근거리 통신망과 비슷하지만, 근거리 통신망 보다는 큰 규모를 가집니다. 최대 75km 정도의 규모를 가지는데 원거리 통신망보다는 지리적으로 작은 규모에서 컴퓨터 자원들과 호스트들을 연결하는 통신망입니다.
한 도시내의 네트워크들을 거대한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몇몇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여 백본라인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도시권 통신망은 캠퍼스나 학교, 건물, 쇼핑센터 등 잘 알려진 큰 위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 근거리 통신망과 연결하는 즉, 서로 멀리 떨어진 지역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줍니다. 학교와 학교, 회사와 회사, 나라와 나라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입니다. 가장 광범위하고, 최대 1,000km 또는 그 이상을 관통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넓은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고속 전송이 어렵고, 인터넷 제공업체에서 관리하며, 허가 없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문 업체가 관리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KT, LG, SK인터넷 모뎀이 여기에 해당 되며 인공위성 같은 무선 통신 또한 원거리 통신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회선 구성 방식
네트워크의 회선 구성 방식은 컴퓨터와 여러 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을 얘기합니다.
- 포인트 투 포인트 : 가장 단순한 형태의 망 구성 방식으로 메인 컴퓨터와 장비가 1:1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얘기합니다.
보통은 컴퓨터와 장비간에 계속 통신을 하며 빠른 응답을 해야 하는 경우와 컴퓨터 시스템이 다른 대형 컴퓨터에 연결되어 터미널 처럼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됩니다. 이 방식은 전용회선이나 공중전화 회선을 이용하고, 회선 구성이 간단하며 대용량 전송에 유리하지만, 별도의 회선과 포트에 따른 높은 설치 비용이 들어갑니다. - 멀티 포인트 :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의 효과적인 연결에 사용되고, 멀티 드롭 방식이라고도 합니다.
해당 구성은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이 적을 때 효율적이고, 구성 비용도 줄일 수 있지만, 논리가 복잡합니다. 특히 통신 회선 고장 시 고장 지점 이후의 단말기들은 모두 운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회선 다중 방식 : 중앙 컴퓨터와 여러대의 단말기를 다중화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중앙 컴퓨터와 다중화 장치 사이는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되고, 대용량 통신 회선을 저속 단말기들이 공유함으로써, 전송 속도와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응형
'IT STUDY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IP와 고정IP의 차이점?? DHCP란?? 고정IP설정 방법 (0) | 2022.04.09 |
---|---|
IP란 무엇인가? 공인 IP 와 사설 IP 차이점 (0) | 2022.04.09 |
댓글